독서 - 요즘 우아한 개발 :: 잡다한 프로그래밍
반응형

개발 관련된 책을 찾아서 읽게 되었다.

 

대규모 서비스를 운영중인 회사에선 어떤식으로 개발프로세스가 되어있는지 궁금해서 책을 읽게 되었다.

읽어본 내용을 정리하는식으로 작성해보려한다.

 

1. 리뷰 문화 개선이야기

아래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고한다. (사내에서 작성하는 것도 꽤 유사함) MR 템플릿이 좋아야 리뷰어가 리뷰하는데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잘 작성해야한다.

- MR 템플릿 사용하기

#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가요?
# 어떻게 해결했나요?
# Attachment

2. MR 목록 알림

- 매일아침 MR 목록을 슬랙알람으로 전송해주는 배치 코드를 사용

3. MR 최대치 초과시 우선 리뷰 하도록 규칙

- MAX MR 개수 초과시 업무 중단 후 리뷰를 먼저 진행하도록 규칙 설

 

2. 팀문화 개선

- 똑같은 질문 100번에 100번씩 대답해주기

- 반복되는 질문에 신경질적인 반을을 보이면, 괜히 질문하지말자, 이게 맞겠지 하는생각이 장애로 이어진다고 한다. (스스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 채팅을 통한 소통의 규칙 (업무상의 대화는 슬랙의 팀 혹은 공개 채널에서 별도의 스레드를 만들어 진행한다. 이렇게 진행하면 모두가 채팅을 볼 수 있다.) < 해당 부분은 꽤 좋다고 생각이 된다. 모두가 업무 공유를 할 수 있고 어떻게 일하는지 알 수 있다.

 

백엔드 개발이야기

- 사용자의 입력은 무조건 검증한다. (UI의 검증은 편리성을 높이는 작업이고, 서버측에서는 올바른 값인지 무조건 검증해야한다. 프론트에서 검증을 3,4차까지 했더라도 그건 검증이 안된 내용이다.)

- 기본키는 Integer가 아니라 Long으로 (비용을 아낀다는 명목으로 PK를 Integer로 만드는데, 이는 갑자기 성장하는 서비스의 발목을 잡는 주범이 된다)

- 서버의 SPoF를 제거하자 (내가 구축한 서버는 무조건 죽기 때문에 죽어도 괜찮은 서버를 만들어야한다. 즉 단일 장애점(SPoF)를 제거해야한다. (책에선 서킷브레이커를 이야기하고 있음)

 

머신러닝 기반의 이상 탐지

 

이미지와 같이 규칙기반에 의한 탐지, 머신러닝에 의한 탐지를 진행하고있다. (규칙 = 패턴, 어뷰징행위에서 나오는 특정 조건을 규칙화함,  머신러닝에 의한탐지 = 지도학습( 라벨에 따른 데이터를 가지고 정상 비정상을 학습하여 판단하는 기법 ), 비지도학습(라벨없이 데이터를 비슷한 데이터끼리 클러스터링 하여 비정상을 찾는 작)이있다. )\

 

Controller와 Service의 강한 결합

MVC 구조를 이용하면 ctrl > svc > repo 구조가 익숙한데 이렇게 되면 ctrl의 resultType에 따라 svc가 종속적이게 된다. 따라서 svc는 자신이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를 받고 ctrl에서 resultType의 포맷을 만들어주는 방식으로 진행해야한다

(JPA에서 entity <> dto 사용하는 이유)

 

내용이 너무 많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이외에도 테스트 관련 항목은 팀에서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일상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 이기적 유전자  (4) 2024.12.02
독서 - 몰입  (1) 2024.11.24
독서 - 요즘 팀장은 이렇게 일합니다.  (2) 2024.11.20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8) 2024.11.17
회복 탄력성  (0) 2024.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