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사전 공부
#1 저항
전자부품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
저항 읽는법:
#2 브레드보드
납떔없이 회로를 꾸밀 수 있게 하는 도구
위 사진처럼 브레드보드 가장 위아래는 가로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세로로 연결되어 전기가 통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이용해야 한다.
2.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 실습
#1 설명
아두이노에서 출력은 디지털 입출력과 아날로그 입출력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아두이노에 정해진 특정 디지털 출력 핀의 전압을 HIGH, LOW로 설정하여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아날로그는 파형이 디지털 0, 1처럼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0~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면 좋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아두이노의 Digtal 핀은 다음과 같다.
빨간 박스 부분에서 0~13번은 디지털 인풋 아웃풋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2 실습
500msec 간격으로 LED 1개가 동시에 ON/OFF 하는 실습 예제이다
실험에 필요한 준비물은 아두이노 UNO, LED1개 1K 저항 1개 브레드보드이다.
LED는 꺾인 쪽이 + 곧게 펴진 쪽이 -이다
1) 다음과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8번 핀을 각 LED의 + 부분에 연결된 저항과 연결하고, GND핀을 - 부분에 연결한다
2) 연결을 완료하였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고 업로드한다
int led1 = 8;
void setup()
{
pinMode(led1, OUTPUT); //아웃풋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led1, HIGH); //LED켜짐
delay(500); //딜레이 0.5초
digitalWrite(led1, LOW); //LED꺼짐
delay(500);
}
반응형
'프로그래밍 > 임베디드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강의] #5 아두이노 Analog Output 강의 (아날로그 아웃풋) (0) | 2019.12.20 |
---|---|
[아두이노 강의] #4 아두이노 3색 LED(RGB 모듈), 버튼 실습하기 (0) | 2019.12.15 |
[아두이노 강의] #2 아두이노 시리얼(RS232) 통신 예제 및 학습 (0) | 2019.12.09 |
[아두이노 강의] #1 아두이노란? 스케치 설치 및 개발환경 구성 (0) | 2019.12.06 |
[라즈베리파이] #1 라즈베리파이 OS설치 (라즈비안 설치) (0)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