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시리얼 통신이란?
- 시리얼(RS232) 통신은 주로 IBM 호환 PC에서 쓰이는 시리얼 통신 방법
- 예전에는 주로 모뎀 연결에 RS232 통신을 사용했다
- 최장 1.5m 정도 까지 통신 가능
- 최근의 노트북 PC는 무게, 두께를 줄이기 위해 시리얼 포트를 제거하고 USB를 사용함
- 아두이노 보드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USB 포트를 이용하여 시리얼(RS232) 통신이 가능함
다음 사진과 같이 아두이노는 PC와 시리얼 통신을 하게 된다.
2. 시리얼 통신 예제
아두이노 시리얼 모니터에서 1 or 2를 입력하면 13번 LED가 ON/OFF되는 프로그램 코딩
int led = 13;
void setup()
{
pinMode(led, OUTPUT); //13번 LED를 아웃풋으로 설정
digitalWrite(led, LOW);
Serial.begin(9600); //보트레이트를 9600으로 설정 시리얼창과 아두이노의 설정이 같아야함
}
void loop()
{
char read_data;
if (Serial.available())
{
read_data = Serial.read();
if( read_data == '1')
{
digitalWrite(led, HIGH); //LED ON
Serial.println("LED ON");
}
else if( read_data == '2')
{
digitalWrite(led, LOW); //LED OFF
Serial.println("LED OFF");
}
delay(10);
}
}
다음과 같이 코딩을 완료하였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임베디드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강의] #5 아두이노 Analog Output 강의 (아날로그 아웃풋) (0) | 2019.12.20 |
---|---|
[아두이노 강의] #4 아두이노 3색 LED(RGB 모듈), 버튼 실습하기 (0) | 2019.12.15 |
[아두이노 강의] #3 아두이노 LED 실습 / Digital Output 실습 (0) | 2019.12.12 |
[아두이노 강의] #1 아두이노란? 스케치 설치 및 개발환경 구성 (0) | 2019.12.06 |
[라즈베리파이] #1 라즈베리파이 OS설치 (라즈비안 설치) (0)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