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 사전 준비
Ubuntu 환경에서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1. Open JDK 설치하기
Jenkins를 이용하기 위해 Open JDK를 설치합니다.
$ sudo apt install openjdk-8-jdk
2. Jenkins 설치하기
다음과 같이 저장소를 추가한 후 Jenkins를 설치한다 (Docker를 이용하여 젠킨스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기서는 직접 로컬에 설치한다)
$ sudo wget -q -O - http://pkg.jenkins-ci.org/debian/jenkins-ci.org.key | sudo apt-key add -
$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ci.org/debian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jenkins
젠킨스의 기본 포트는 8080이다 이 포트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 vi에디터에서
HTTP_PORT=8080 > HTTP_PORT= 원하는 포트번호로 수정
$ sudo vi /etc/default/jenkins
3. Jenkins 실행 & 정지 & 재시작
다음과 같이 Jenkins 서비스를 실행 정지 재시작할 수 있다. start 해주도록 하자
$ sudo service jenkins start
$ sudo service jenkins stop
$ sudo service jenkins restart
4. Jenkins 설정
#1) Password 입력
http://localhost:8080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온 값을 password에 입력한다.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2) 기본 설치
다음과 같이 기본 설정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3) 관리자 계정 만들기
빈칸을 입력하여 관리자 계정을 만든다 여러 개 추가하려면 Continue를 마치려면 Save를 선택한다
4) 도메인 URL 설정
가지고 있는 도메인이 있다면 입력하여 사용한다
5) 실행
다음과 같은 실행화면을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