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cas' 태그의 글 목록 :: 잡다한 프로그래밍
반응형

1. 디플로이먼트의 업데이트 방법 4가지

  • ReCreate
  • Rolling Update
  • Blue/Green
  • Canary

#1) ReCreate

Pod1이 작동 중이라면 Pod1을 죽이고 Pod2를 실행시켜 업데이트하는 방식. Pod1이 죽고 Pod2가 실행되는 시간(Downtime)만큼의 빈 공간이 생긴다

 

#2) Rolling Update

Pod1이 1개 실행중이라면 Pod1이 실행된 상태로 Pod2를 실행한다 총 2개를 사용하는 셈 (이때 누군가는 Pod1에, Pod2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 이후 Pod1을 삭제(이제부터 Pod2에만 접근함) 추가적인 자원을 요구하지만 Downtime이 없음

 

#3) Blue/Green

서비스와 연결된 pod1(컨트롤러1)이 실행 중일 때 pod2(컨트롤러 2)를 만듦 이후 서비스에 연결된 pod1을 pod2로 바꿔주면 pod2로 바꿀 수 있음(추가적인 자원을 요구하고, 서비스의 downtime 없음) 만약 pod2에 문제가 생기면 서비스에 연결된 pod만 pod1으로 바꿔주면 됨 문제가 없으면 pod1과 컨트롤러 1을 삭제해주면 됨

 

#4) Canary

업데이트 예정


2. Rolling Update 실습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있을때 Deployment의 pod v1을 v2로 수정하면 자동으로 Rolling Update가 된다(Rolling Update가 Default)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test-deployment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type: app
  template:
    metadata:
      labels:
        type: app
    spec:
      containers:
      - name: pod-test
        image: diqmwl/pod:v1
        ports:
        - containerPort: 8080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test-service
spec:
  selector:
    type: app
  ports:
    - port: 9000
      targetPort: 8080

다음과 같은 YAML에서 image: diqmwl/pod:v1 부분을 pod:v2로 수정하면 Rolling Update가 이루어진다.

반응형
반응형

1. 컨트롤러란?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 Auto Healing (Node, Pod가 사용 가능한지 불가한지를 판단하여 새로운 노드에 새로운 파드를 만들어주는 역할)
  • Auto Scaling (한 파드에 과도한 요청이 있을경우 파드를 복제하여 분산시켜주는 역할)
  • Software Update (버전 업데이트를 쉽게할 수 있고 롤백또한 가능)
  • Job (일시적인 작업을 해야할경우 사용)

2. Template, Selector란?

다음 그림과 같이 Template는 컨트롤러에 pod를 설정함, 만약 파드가 죽는다면 template에 있는 파드를 재 생성함

Selector는 컨트롤러와 파드가 서비스와 파드처럼 라벨로 연결하게 해주는데 어떤 라벨을 가진 pod를 관리할건지를 의미함


3. Replicas란?

Replicas를 설정한 개수만큼 Pod를 유지하려고 한다 만약 다음과 같은 YAML파일이 작성되어 있다고 하자. replicas에 3이 적혀있으므로 컨트롤러는 파드의 개수를 3개로 유지하려 할것이고 만약 파드가 죽는다면 재생성하여 3개를 유지할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버전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apiVersion: v1
kind: ReplicaSet
metadata:
  name: replica-1
spec:
  replicas: 3
  selector:
    type: app
  template:
    metadata:
      name: pod-1
      labels:
        type: app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app:v1

4. ReplicaSet를 통해 Pod생성하기

다음과 같은 YAML파일을 작성하고 ReplicaSet을 만든다

apiVersion: v1
kind: ReplicaSet
metadata:
  name: replica-1
spec:
  replicas: 1
  selector:
    type: app
  template:
    metadata:
      name: pod-1
      labels:
        type: app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app:v1
반응형

+ Recent posts